한반도 기후위기, 탄소중립 없이는 벗어날 수 없다!

-현재 탄소 배출 유지하면 21세기 중반(2041~2060년) 한반도 3.3℃ 증가- 기상청은 ‘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(IPCC)’의 제6차 보고서의 온실가스 배출 경로를 기반으로 하여, 2100년까지의 한반도 기후변화 전망을 발표하였다. 동아시아에 대한 고해상도(25km)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산출하고, 그 결과를 “한반도 기후변화 전망보고서 2020”에 수록한…

1차 재난지원금의 추가소비 효과, 외국 유사 사례의 1.8배 수준

-경기연구원, 수도권 8,488가구, 10,000명 대상 재난지원금 영향 설문조사 실시- 1차 재난지원금(정부 긴급재난지원금, 경기도 재난기본소득, 서울시 재난긴급생활비 등)의 추가 소비 효과(한계소비성향)가 45.1%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. 이는 외국 유사 사례(2009년 일본과 대만)와 객관적으로 비교하기 위하여 감염 위험에 따른 소비 제약을 고려한 수치다.…